728x90
모서리는 조금 갈아내야 합니다.
전원은 USB 포트를 사용하게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아두이노 보드의 VCC를 거쳐 나오게 되면 전원칩에 무리가 가므로 모터의 출력은 USB와 직결해야 합니다.
나노 보드에는 USB의 VCC를 바로 연결하는 핀이 없으므로 점프선을 VIN 핀과 연결했습니다.
일단 OLED를 테스트해봅니다.
엔코더 신호를 직접 OLED에 표시하도록 하고 왕복하도록 코딩한 뒤 모터를 돌려봤습니다.
잘 되는군요.
728x90
'Making > 스마트 디스펜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 디스펜서 #6 - 모터 변경과 감속비 계산 (0) | 2021.02.03 |
---|---|
스마트 디스펜서 #5 - 조립과정 확인 (0) | 2021.02.02 |
스마트 디스펜서 #3 - 디스펜서 회로 주문. (0) | 2021.01.19 |
스마트 디스펜서 #2 - 디스펜서 내부 배선도 정리. (0) | 2021.01.17 |
스마트 정량압출기 계획 #1 (0) | 2021.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