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ookie_domain: 'auto', cookie_flags: 'max-age=0;domain=.tistory.com', cookie_expires: 7 * 24 * 60 * 60 // 7 days, in seconds }); 파워 서플라이 업그레이드 #2 :: MakerLee's Workspace
728x90

처음엔 자동감개를 기계식으로 해 볼까 했는데 기성품도 그렇듯 항상 완벽하게 작동하질 않습니다.

끝까지 감기게 하려면 태엽을 길게 하고 강도도 세게 해야 하는데 그러면 속도가 너무 빠릅니다. 

속도를 줄이려면 별도의 감속기까지 설계해야 합니다. 

몇번 테스트해보니 마음에 들지 않아 그냥 모터로 해결하기로 했습니다. 

 

 

 

 

 

마이크로 서보 모터와 DC 감속기어모터를 사용해서 감아줄 생각입니다.

 

 

 

 

 

 

서보모터가 모터 암을 작동시켜 메인기어에 닿고 나면 DC모터가 전선이 다 감길 때까지 작동합니다. 

전선이 다 감기면 서보 모터가 제자리로 돌아와 기어의 접촉이 떨어지고 전선을 풀어 쓸 수 있게 됩니다. 

컨트롤은 아두이노 나노 보드를 사용합니다.

 

 

 

 

 

 

 

 

 

아두이노와 모터를 작동시킬 전원은 파워 서플라이에서 따 오면 되긴 하지만 전압이 안 맞죠.

파워 서플라이는 48V 가 나오는데 LM2596의 입력전압 한계는 30V 더군요. 

알아보니 LM2596HVS 가 있고 50V 입력까지 가능하다 하여 따로 구매했습니다. 

 

 

 

 

 

 

 

 

파워 서플라이를 꺼도 내장된 충전지로 모터를 작동시키게 만들어볼까?

그걸 슈퍼 캐패시터로 동작시켜 볼까?  하는 생각에 연결시켜보니 충전전류가 너무 높게 나옵니다. 

슬로우 스타터 회로를 이용해서 저전류로 동작시키는건 성공했는데 발열도 심하고 해서 일단 포기. 

전원부는 일단 써보고 나중에 필요성이 느껴지면 추가하려 합니다. 

 

 

 

 

 

전면부 패널. 

RW 스위치를 누르면 서보작동후 DC모터로 전선을 감습니다. 

전선이 감겨지면 그 압력으로 스위치가 눌려 전선이 다 감겼음을 체크하고

서보를 다시 중립으로 옮긴 뒤 DC모터 파워를 OFF하는 단순한 구조입니다. 

 

 

파워를 빨리 완성시켜야 다른 작업도 순조로울 텐데 자잘하게 계속 바빠서 진도가 영 안 나가네요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