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ookie_domain: 'auto', cookie_flags: 'max-age=0;domain=.tistory.com', cookie_expires: 7 * 24 * 60 * 60 // 7 days, in seconds });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2 Page) :: MakerLee's Workspace
728x90




현재 쓰고있는 핸드폰은 팬텍의 베가 레이서 3 입니다. 


2년전 버스폰으로 마구 풀려서 당시엔 꽤 저렴한 가격(27만원이었던걸로 기억)이었습니다. 




2년동안 불만없이 잘 썼고 액정모서리 깨졌지만 교체비용이 비싸서 그냥 두고


1년만 더 썼으면 좋겠다 했는데


하필 약정끝나고 몇달 지나자 자꾸 발열하면서 배터리를 1분에 2%씩 까먹는군요.


이건 리셋하면 고쳐지긴 하는데 최근엔 더해서 터치불량까지 생겨 결국 교체결정. 



약정도 끝나서 저렴한 요금제에 만족하고 있었기에 새로 비싼 요금에 약정묶이는건 싫었고


해외직구폰으로 알아보다 가성비 좋다는 아수스 젠폰2 로 결정했습니다. 







익스펜시스에서 구매했고 부가세 합하면 34만원정도 합니다. 


시스템에 오류가 있는지 결재하면 자꾸 물건이 없는채로 결재가 돼서 구매취소가 되더군요. 


어쨋건 결재하고 며칠만에 페덱스로 금방 도착했고


적당히 좋은 핸드폰이라 생각하며 며칠간 써보니 꽤나 심한 발열이 신경쓰였습니다. 











안쓰는 컴퓨터용 온도체크센서가 있어 열이 제일 심한 곳에 붙여놓고







3D 게임을 조금 돌려봤더니 14분정도에 45도에 육박하더군요.



정상이 아닌 것 같긴 한데 가끔 원래 발열이 심한 녀석도 있어서 혹시 이게 정상범위가 아닌지 확신이 가지 않았습니다만











유튜브 검색을 해보니 리뷰어들이 온도체크까지 하면서 올린 리뷰가 있었습니다. 




익스펜시스에 관련사진들을 보내서 교환을 문의하니 바로 보내라는 답장이 왔고요.



이 반송과정이 그리 쉽지는 않았습니다. 


필요한 관련서류는 6가지;;


일단 세관에 필요한 서류

1.사유서(간단히 작성)

2.수입신고서 - 저는 물건받을때 이걸 안 줘서 다시 익스펜시스에 재요청해서 받았습니다

3.인보이스 3장 - 영문으로 작성해야 해서 인보이스 작성법 검색하고 작성하느라 반나절;

4.위약반송임을 증명하는 서류 - 주고받은 이메일 출력해서 첨부

5.운송장 - 간단하게 말해서 택배용지. 페덱스에서 가져갈때 쓰면 되는데 

한국주소는 도로명 주소를 영문으로 써야해서 이것도 미리 준비하는게 좋음.

6.통장사본 - 부가세 환급용.


포장박스에 넣어야 하는 서류

1.사유서

2.주고받은 이메일

3.이름, 연락처, 주문번호, 반품사유, 처리방법 등 기재한 서류




힘들게 여기저기 검색해 가며 힘들게 서류 완비하니 잘 정리해 놓은 블로그가 있었군요;


http://rime.tistory.com/84




서류준비하는데 하루종일 걸리고 이틀째 픽업요청했는데 인보이스 못써서 다시 다음날 새로 픽업요청했네요;


짜증도 났지만 이건 뭐 익스펜시스 잘못도 아니고 전부 세관에서 필요한 서류라..



이제 물건이 잘 도착하고 잘 교환되어 오기만 기다려 봅니다. 




2부 



728x90
728x90

그간 잡다한 것들을 프린팅하는 경우 가끔씩 트러블이 있긴 했는데


광학식 리밋 센서로 교체한 뒤에는 그래도 문제가 50% 정도 줄어서 그럭저럭 잘 쓰고 있었습니다만



최근에 좀 장시간 프린트를 했더니 익스트루더 부품이 약간씩 휘어서 압출이 안되고 있어





그간 생각만 해두고 있었던 MK8 익스트루더 형태로 업그레이드를 하자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일단 달려있는 익스트루더 부품이 불안해서 임시로 순간접착제로 고정해두고 예비 부품을 뽑는데







엄청나게 출력이 안되기 시작합니다. 











익스트루더가 멈추던가 계속 탈조가 나던가 둘중 하나의 문제가 계속 발생하더군요.


저렇게 늘어지는 실도 없었는데 어느순간부턴가 생겨서 옵션을 계속 바꿔봐도 없어지지 않습니다. 






그나마 괜찮게 나온게 이 정도입니다.


바닥면에서 2mm 쯤 올라왔을때는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탈조가 꼭 한번씩 생기고 출력상태도 매우 좋지 않습니다. 









증상이 시작될때 이것저것 점검을 해 보면서 DRV8825를 주문했습니다. 어차피 바꾸려고 생각해 두기도 했고요



결국 2주정도 계속 프린트해보면서 모든 부분을 체크했지만 원인을 확정짓지 못했고, 


그 후 도착한 DRV8825로 교체를 했습니다. 












해결.. ;;






728x90
728x90



간만에 여유있게 쉬면서 부품정리도 좀 하고 


전에 구입해놨던 회로(링크) 에다 배터리와 충전회로, 스피커, 조작버튼을 연결했습니다. 


뭔가 제대로 만들어볼까 하고 이것저것 테스트해봤는데 전에 상품평이 좋아서 2천원인가에 구입했던 4옴 스피커와


사진상의 트위터를 조합하니 상당히 훌륭한 소리를 내 주더군요.



하지만 원래 휴대용으로 쓰려던 것이라 고민하다가 결국은 그냥 떼 버렸습니다. 


트위터라서 중~고음만 나온다는 단점이 있긴 합니다만 갖고있는 소형 스피커 중에서는 그나마 제일 쓸만하네요.


케이스는 그냥 포맥스를 대충 잘라서 만들 생각입니다. 

728x90

'D.I.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어컨 실외기 팬모터 교체  (5) 2015.08.17
집진기 준비중  (0) 2015.07.08
소형 스팟 용접기 만들기 #2  (2) 2015.04.17
소형 스팟 용접기 만들기 #1  (3) 2015.04.08
블랙박스에 편광필터 장착하기  (1) 2015.03.11
728x90


요즘은 그동안 위시리스트에만 올려놨던 생활용품 같은 것들과 함께 이펙터를 약간 업그레이드하고 있습니다. 


방열 팬과 출력물 팬, 근접센서를 장착하기 위한 홀더를 최적화시켜 사용에 편리하게 만들기 위함입니다. 










일단 이 세 부품은 위와 같이 모두 볼트를 약간만 풀면 바로 분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노즐이나 써미스터를 수리해야 할 때마다 부품들을 분리하기가 매우 성가셨기 때문에 저렇게 설계를 했습니다. 


당연히 연결 케이블도 커넥터 처리를 했고요(사진을 안찍었네요)


써미스터와 팬, 노즐히터를 모두 커넥터처리했더니 각 부품의 분리/교체에 10초도 안걸리고 너무 편합니다. 









팬 홀더는 위와 같이 ㄷ자로 꺾어서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되도록 했습니다. 


사진의 부품은 아예 팬 고정홀도 없이 그냥 팬을 꽂도록 되어 있습니다. 


위의 꺾인 부분 때문에 절묘하게 빠지지도 않고 딱 걸려서 볼트 없이 고정이 됩니다. 


한 5번쯤 재출력하면서 맞췄네요.








출력물을 식히는 팬을 블로워팬으로 교체했습니다. 


그야말로 강력 합니다. 


얼마나 강력하냐 하면







히터를 켜도 온도가 올라가질 않네요;;;;








급한대로 스카치 테이프로 바람구멍을 반쯤 막았더니 좀 낫습니다만 그래도 너무 천천히 올라갑니다. 









수동으로 200도 올렸다가 팬을 돌렸더니 금방 8도씩 떨어집니다. 팬은 20% 출력으로 돌린건데도요.









그럭저럭 출력온도가 되길래 출력테스트 해봤더니 2layer 들어가면서 팬이 작동되는 순간 급냉각되면서


cold extrusion 에러가 뜨며 익스트루더가 멈춥니다;;








히팅블럭에 보온용으로 캡톤 테잎을 두껍게 감고 


출구 형상을 수정해서 바람을 좀 더 아래로 가게 했더니 해결되었습니다. 











차후 ABS 출력을 하게 되면 히팅베드가 필요함 -> 히팅베드를 달면 압력센서를 쓸수가 없음 -> 근접센서 필요함


이런 계산으로 근접센서 홀더를 만들어 주었습니다. 아직은 ABS 출력을 하지 않아서 쓰지는 않고 있네요.
















하나씩 하나씩 출력을 마무리짓고 있습니다. 



첨부:


 

fan_mount1_1.STL


fan_mount3.STL


proximity_sensor_holder.STL



728x90
728x90

그동안 이것저것 좀 본격적으로 쓸만한 물건들을 프린팅하려고 했으나...






작은 물건을 프린트할때는 큰 문제가 없지만


베드를 꽉 채우는 대형 출력물을 뽑을때는 계속 뭔가 틀어지는 사태가 발생하더군요. 


대형 출력물은 필라멘트 소비량도 많아서 두세번 실패하면 필라멘트도 팍팍 줄어드는게 아까운데


계속 문제가 생기길래 다시 점검을 좀 해봤습니다. 









세팅 잡아놓은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 오차가 엄청납니다. 


A축 방향 리밋 스위치가 처음부터 좀 불안불안했는데 


언젠가 광학식 리밋 센서로 교체할 생각을 하던 차라 이참에 마음을 굳히고 변경작업에 들어갑니다. 






언제부터 갖고 있었는지도 기억에 없는 sharp 사의 제품입니다. 모델명은 GP1A05A


보통 광학식 포토 인터럽트는 간단한 주변회로를 달아주어야 하는데 


이것은 회로내장형이라 그냥 전원입력만 하면 됩니다.  3개의 선이 있고 VCC, GND, Signal(OUT) 입니다. 


데이터쉬트상에서는 7V인가 8V 인가가 최저전압으로 나와있는데 테스트해보니 5V 에서도 동작합니다. 


고정용 hole 이 4파이라 따로 고정용 부품 없이 2020 프로파일에 그대로 끼울 수 있어 편합니다. 






일단 설계. 


센서가 한쪽으로 몰려있어서 장착이 좀 미묘합니다. 


미세조정이 가능하도록 해야 하는데 볼트 한개로는 머리를 쥐어짜도 아이디어가 안나와서 그냥 볼트 2개로.


2개의 파트 사이에 볼펜스프링을 넣어 텐션을 유지하게 할 생각입니다. 










출력물 상태가 좋지 않습니다. 노즐팬을 새로 출력해 달아야 하는데 노즐팬을 출력하려면 영점을 맞춰야하고 


영점을 새로 맞추려면 저 출력물이 필요하고.. 


이런 물고 물리는 관계여서 일단 쓸수만 있도록 만들고 나중에 새로 뽑아서 교체하기로 했습니다. 








너트가 상부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인두기로 눌러 고정시킨 후 추가로 순간접착제로 고정했습니다. 











이렇게 고정한 후 












모나미 볼펜스프링을 반으로 잘라 사용했습니다. 스프링 하나 사러 청계천 나가기도 애매하고


인터넷으로 사자니 택배비 아깝고 해서 그냥 250원짜리 볼펜 3개 사서 해결. 













상부 출력물도 노즐팬이 없으니 상태가 좋지 않습니다. 















이 상태로 연결하고 테스트해봤더니... 노이즈만 나오고 안되더군요 


데이터쉬트를 보니 풀업 저항이 필요하다고 해서 VCC와 Signal 사이에 1K연결했습니다. 











잘 됩니다. 


1mm 쯤 어긋나서 핀을 잘라내고 임시로 두꺼운 종이를 붙여 사용중입니다. 













센서 교체 후 또 기나긴 튜닝을 할 생각을 하니 아찔해서 


더이상 미룰 수 없겠다 싶어 영점센서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소형 CNC에서 흔하게 쓰이는 방식인데 구조는 매우 간단합니다. 


안쓰는 PCB 하나를 적당히 자른 후












배터리, 저항, LED, 악어집게를 준비합니다. 











전부 직렬 연결하여 점등회로를 만듭니다. 











노즐이 닿으면 불이 들어옵니다. 


측정위치에서 0.1mm 씩 내리다가 불이 들어오면 다시 0.1mm올리고 0.01mm씩 내려 측정합니다. 


LED점등위치의 Z 높이를 읽으면 되니 매우 간단합니다. 


명함 끼우고 측정할 때는 걸리는 느낌이 아날로그적이라 오차가 많았는데 


측정해 보니 쉽고 정확하게 측정이 됩니다. 진작 할 걸 그랬네요. 


금속 히트베드를 사용할 때에는 이 원리로 접촉식 오토레벨링을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테이프를 씌운다던가 하면 안되겠네요

728x90
728x90



업그레이드를 했습니다. 회로는 같지만 기판을 2개로 나눴습니다. 


처음 기판은 크기가 커서 손에 잘 잡히지도 않고 너무 길어서 거추장스럽길래 최대한 줄이고 줄였습니다만


기판 2개로 나누니 오히려 남는 부분이 꽤 많아 괜한 노력을 했더군요.









납땜이 번거로울 뿐 회로 자체는 간단해서 버그는 없네요


아두이노로 OLED까지 다시는 분도 있는데


구동회로는 FET 그대로 쓰고 신호선만 바꾸면 되니 아두이노로 만들기도 어렵진 않을 것 같습니다만..


이것도 당장 급하게 쓸곳이 있는게 아니라서 이정도로 마무리하려고 합니다. 


RC배터리 20C를 썼더니 방전이 모자라서 스팟이 굉장히 약하게 됩니다. 


나중에 필요할때 35C 정도로 새로 구매해야 할듯.


나중에 시간나면 케이스나 만들어 줄 생각입니다. 








Ver 1.0은 부품을 뜯기고 쓰레기통으로.. 

728x90
728x90



728x90
728x90

활동하는 모 카페에서 한창 유행중인 스팟 용접기입니다. 


배터리팩 DIY에 유용한 공구죠. 


555타이머를 이용해 수 ms 동안 저전압 고전류의 전기를 순간적으로 통과시키고


접촉된 니켈판과 배터리 표면을 순간적으로 녹여 점 용접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저전압 고전류의 전기는 트랜스포머를 사용하기도 하고 대용량의 컨덴서를 사용하기도 하고


여러 방법이 있었습니다만 RC용 고방전 배터리를 사용하면 작은 휴대용의 기기를 만들 수 있어 


카페에서는 이게 대세가 되었습니다. 








일단 주어진 회로도대로 이글캐드로 그렸습니다. 우측의 FET를 별도의 보드로 분리하면 더 소형으로 만들기 쉬운데


저는 일단 처음 만든 회로를 프로토타잎으로 생각하고 한번에 제작했습니다. 









CNC로 깎아 만들었습니다. 사용된 전선은 8AWG 자동차용 앰프선입니다. 







동영상 찍으면서 작동하다 보니 두번째 스팟을 잘못 눌러 스파크가 심하게 튀었네요






다소 미흡한 느낌이 있습니다. 용접용 동봉을 좀 가공해서 변경한 뒤 다시 해보려 합니다. 



%변경할 점:

1. 손에 쥐기 약간 불편함. 보드 폭을 5mm 이상 줄였으면 좋겠다. 

2. 눌렀을 때 2개의 용접봉이 바닥에 잘 밀착되도록 할 수 있었으면.



728x90
728x90



부품정리함 레이블 라벨 용도로 이런 다이모 라벨기를 쓰고 있습니다. 


자주 쓰지는 않지만 유용해서 몇년째 계속 사용하고 있는데 


중간에 라벨을 밀어주는 고무바퀴가 가끔 헛도는 바람에 


글자가 겹쳐 찍히는 문제가 가끔 생기더군요. 



그래도 대부분은 제대로 나와 줬기에 그럭저럭 쓰고 있었습니다만


이제는 수명이 다 되었는지 한 네다섯번 찍어야 그중에 하나가 제대로 나올까 말까 하네요.



가격이 2만원쯤 하는데 사용량에 비해 고장이 잘 나는것 같아 불만이 좀 있어서




이참에 라벨프린터를 한번 찾아봤더니


6.5만~10만 사이 가격이네요. 


라벨용지 가격은 10000에서 15000원 정도. 


사무실도 아니고 개인이 사기엔 좀 비싸다 싶어서 다른걸 찾다가


아마존을 가봤습니다. 









2만원이네요;;



카트에 담으니 뭐가 바뀌었는지 16.58$가 되어있었는데


세금 및 배송비 해서 24$.


몰테일 배송대행비는 13$ 들었습니다.  





라벨테이프는 10$ 정도 하는데 아마존에서 사지 않고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샀습니다. 정품은 아니지만 무료배송에다 개당 7$ 정도로 조금 더 싼 가격.


길이는 7M 라고 써있는데 정품은 23feet 니까 5.84M 정도로 정품보다 많이 들어 있다는 얘기가 됩니다. 


정확할지는 모르겠지만요. 




몰테일 배송까지 뜨고 다시 아마존을 봤더니...

 



그사이에 뭔일이 벌어진건지 9.99$로 가격이 다운;;;


@Scar_eye 님이 알려주신대로 amazon 에 부분 환불을 요청했더니 


저 셀러는 가격을 마음대로 정할 수 있는 셀러라 환불은 안되고 대신 아마존 기프트카드를 주겠다고 하더군요.





이미 구입한 물건이라도 2주 안에 가격이 내려가면 부분 환불을 요청할 수 있다고 합니다. 


총 구매금액은 24$(물품가+배송비+세금) - 6.59$(부분환불) + 13$(배송대행) 으로 30.41$





브라더나 엡손 라벨테이프는 6~7만원 정도에 한글이 지원되고 라벨테이프는 1만원 정도니 


국내구매도 그리 큰 차이는 아닌 것 같습니다. 


저는 딱히 한글이 필요없고 조금이라도 싼 물건이 필요했기에 만족할 만한 쇼핑이었습니다. 





---------------------------------추가----------------------------------------


이거 아마존에서 직배송하면 송료 10.6$ 정도면 되는군요;;


괜히 배송비만 더블로 들었네요. 총 20$ 정도면 구매 가능한듯;;


728x90

'주인장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핸드폰 직구.. 하려다 실패  (0) 2015.05.23
잊지 않겠습니다.  (0) 2015.04.16
아마추어 로켓 엔진 개발에 후원하세요  (0) 2015.02.03
손가락 부상..  (0) 2014.12.15
최근 며칠간 작업들.  (0) 2014.10.24
728x90



요렇게 사용하던 프린터... 이상하게 PLA를 230도까지 가열해야 


출력이 가능했지만 센서가 좀 차이가 있나 하고 넘겼는데









덜컥 고장나는 바람에 노즐을 분해해 보니 써미스터가 아예 까맣게 타서 떨어져있음..;










그리고 그런 상태에서 히터는 신나게 가열을 하는 바람에 플라스틱 부품을 녹여먹었네요.. 


결국 쓰던 메탈 방열판 노즐로 재변경했습니다. 









짐정리를 하다가 처박아놓은 냉장고컴프를 보고 이참에 수리해놓자 한 것은 좋았으나


합판 절단해서 프레임을 만들까 출력할까 하다가 출력으로 한번 뽑아보자 했는데 고생길이네요.


사진은 에어탱크로 사용하는 소화기입니다. 







프레임 크기가 베드에 안들어가서 4등분해서 출력하는 것도 일일 뿐더러 


필라멘트 소모량도 엄청나서 그냥 합판으로 할걸 그랬다는 후회가 있습니다. 


출력실패한 부품이라도 형태는 유지하고 있으니 그냥 사용하려고 끼워놨습니다. 


상단 마지막 레이어가 뚜껑을 덮을 때 튀어나온 부분에 걸려 탈조가 나는 현상이 자주 있네요. 


infill 구조물의 형상이나 크기 등을 바꿔보면서 테스트해보고 있습니다. 





728x90
728x90

저도 초보자다 보니 조립부터 세팅까지 세세하게 블로깅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간에 제대로 언급하지 못한 부분들도 있고, 

 

당시에 몰랐다가 나중에 알고 따로 쓰지 못한 부분이 있어 정리합니다. 


1. Z_HOME POS




일단 Z_HOME_POS는 노즐을 엔드스탑에 닿도록 끝까지 올렸을 때,


베드 표면과 노즐 끝의 거리입니다. 


이 수치를 정확하게 잡아야 출력시 노즐이 정확하게 베드 표면에서 출력을 시작하게 됩니다. 






(펌웨어를 업로드할 때는 reptier-host 에서 disconnect 버튼을 눌러 접속을 끊어야 합니다. 

조작할 때는 다시 connect 버튼을 눌러 프린터와 연결하고요)



처음에 숫자를 다소 넉넉하게 350쯤 잡은 후, 아두이노 프로그램에서 업로드하고


1. Repetier 에서 home 버튼을 누르면 노즐이 위로 쭉 올라가며 엔드스탑을 누르고 정지합니다. 


2. Z축 하강 버튼을 누르거나 위쪽의 G-code 입력란에 수동으로 이동명령을 입력해서 Z축을 내립니다. 



노즐이 거의 바닥에 닿을 지경이 되면 명함 정도의 두께가 되는 종이를 노즐 밑에 깔고


0.1mm 씩 노즐을 천천히 내리면서 명함이 약간 낄 정도로 조정합니다. 







이때 프린터의 LCD 창을 보거나 Repetier-HOST의 Z좌표를 보면 표시되는 숫자가 있습니다. 


사진에선 5로 되어 있는데 그렇다면 처음 Z_HOME_POS를 350으로 잡았으니 


350-5 = 345 가 진짜 프린터의 Z_HOME_POS 가 됩니다. 







2. DELTA_RADIUS



일단 Z_HOME_POS만 제대로 잡아도 작은 출력물은 이상없이 출력 가능합니다


그렇지만 어느정도 크기가 큰 출력물을 출력하다 보면 가장자리로 갈수록 이상하게 노즐이 베드를 긁거나


허공에 뜨거나 하는 현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을 조정하려면 DELTA_RADIUS 를 수정해야 합니다. 


펌웨어에 따라 다르지만 DELTA_RADIUS  @@@ 같이 숫자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혹은 DELTA_RADIUS DELTA_SMOOTH_ROD_OFFSET-DELTA_EFFECTOR_OFFSET-DELTA_CARRIAGE_OFFSET) 


같이 산술식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떤 것이든 결국에 중요한 것은


DELTA_RADIUS가 클 수록 출력 평면은 오목하게 되고


DELTA_RADIUS가 작을 수록 출력 평면이 볼록하게 된다.



라는 것을 알고 계시면 됩니다. 


산술식으로 되어 있는 경우 DELTA_EFFECTOR_OFFSET 이나 DELTA_CARRIAGE_OFFSET 을 조정하면 됩니다만


결국 DELTA_RADIUS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라 


저는 그냥 DELTA_RADIUS 110 같이 숫자를 직접 입력하는 식으로 사용합니다. 



DELTA_RADIUS를 입력하고 아두이노에서 업로드 했으면 조정을 해야겠죠


HOME 한뒤 다시 Z축을 거의 바닥까지 내리고 


중앙에서 노즐을 내려 명함종이가 꽉 끼도록 한 후 Z축의 높이를 확인하고


Z축을 약간 올렸다가 다시 Y축으로 70 정도 올려 베드의 가장자리에 노즐이 위치하도록 합니다. 


그리고 다시 Z축을 명함종이에 끼도록 내려서 Z축의 높이를 확인하면


출력평면이 볼록한지 오목한지 알 수 있습니다. 



이후 DELTA_RADIUS를 조정해서 다시 업로드하고 위의 방법을 반복.. 하여 정확하게 튜닝하면 됩니다. 




3. DELTA_DIAGONAL_ROD


그리고 출력을 했는데 다 잘 나왔다고 기뻐하며 어딘가에 끼우려는 순간


뭔가 사이즈가 안 맞을 수가 있습니다. 






직교형 프린터의 경우 위의 step/unit를 조정하여 사이즈를 맞춥니다만 델타는 다릅니다. 


출력물의 높이가 안 맞으면 위의 DEFAULT_STEPS_PER_UNIT를 조정해야 합니다만


10mm 큐브를 출력시 출력물의 높이는 10mm 로 정상이 나왔는데


가로, 세로 크기만 8mm 라거나 할 경우,







DELTA_DIAGONAL_ROD의 숫자를 조정합니다. 


튜닝방법은 전과 같이 숫자를 바꿔보고 출력해서 출력물이 어떻게 되었나 보고 


다시 숫자를 바꿔보고... 반복해서 잡습니다. 






펌웨어 세팅에서는 이 3가지 부분만 알고 계시면 나머지는 크게 문제는 없을 것입니다. 



728x90
728x90

전부터 몇번 언급했던 것이지만 자석식 링크는 처음부터 좀 불안한 점이 많았습니다. 


분리가 간편해 유지보수가 쉽고 툴 교체가 쉽고 가동영역이 넓다는 장점은 있습니다만


일단 어디에 조금 걸리면 툭 떨어져 출력물이 엉망이 되기도 하고


지난번에 교체한 오토레벨링 센서를 누르다 보면 


자석이 약간 떨어진 채로 출력을 시작하는 경우도 가끔씩 있었고요.



그리고 네오디뮴 자석은 자기파괴 현상이 있어서 


물리적인 손상이 가는 경우에는 천천히 스스로 부스러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번에 분해하면서 보니 도금은 이미 다 벗겨졌더군요.




하여간 이런 불안들로 인해 볼엔드로 교체하기로 생각하고 초반해 구해놓았던 물건을


이번에 장착했습니다. 






출력물은 그냥 thingiverse에서 그대로 받아 썼습니다. 


캐리지는 

http://www.thingiverse.com/thing:393154


이펙터는 

http://www.thingiverse.com/thing:653184


를 사용했는데 이펙터는 차후 수정할 필요가 있더군요. 


http://www.thingiverse.com/thing:152487 이 버전이 더 맞지 않을까 해서 교체할 생각입니다. 









전에 다른 분 블로그에서 본 아이디어를 적용해 봤습니다. 


간단한 출력물을 2개 만들어서 프로파일에 길이를 잘 잡아 고정시킨 후 


다시 볼엔드에 접착제를 바르고 볼트로 고정하면 길이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습니다. 












다행히 K800의 케리지는 자석식일 뿐 


너트 간격이나 기타 사이즈들은 큰 차이가 없어서 kossel용 캐리지를 그대로 적용 가능합니다. 








출력물에도 벨트를 고정하기 위한 홈이 있지만 잘 끼워지지 않아서 잘라버리고 케이블 타이로 고정했습니다. 


출력시 진동 때문인지 프로파일을 레일로 쓰는 흰색 플라스틱 베어링의 유격도 심해졌더군요


볼트와 너트를 조정해서 꽉 조여줬습니다. 










이펙터도 교체... 를 했는데











한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자석식 이펙터는 단차가 있어 노즐부를 끼우고 고정시킬 수 있게 높이가 맞춰져 있는데


출력한 이펙터는 그런 부분이 없어 노즐 고정이 안되더군요;;


다시 자석으로 교체하고 새 부품을 출력하고 다시 교체하는 삽질을 해야 하나... 하고 고민을 하던 중.









http://3dprinterdiymall.co.kr/board/free/list.html?board_no=3


한국 아이팩에서 무료로 주신 j-head 노즐이 생각났습니다. 







끼워보니 저것도 플레이트를 끼워 조일 순 없지만 외경 사이즈가 정확하게 이펙트의 홀에 딱 맞습니다. 


힘줘서 끼우니 빡빡하게 들어가서 임시로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이더군요


다시 한번 한국 아이팩 분들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임시 고정이지만 어차피 노즐도 슬슬 맛이 가고 있는 것 같아 교체하려 했던 차라 


겸사겸사 잘됐다고 생각합니다. 











처음에 엄청 안나와서 이것저것 만지다 보니 온도센서 설정이 많이 다른지 


180~190도 정도에서 출력했던 PLA를 230도 설정까지 올려야 출력이 가능했습니다. 


오토레벨링 시 오차도 확연히 줄어들고 로드 떨어질 걱정도 덜하고 튼튼한 것 같아 마음에 듭니다. 


일단 부품을 바꾼 만큼 전체적인 펌웨어 튜닝을 다시 해야 겠네요. 




728x90
728x90






triangle_plate_clip.STL


6개 뽑으면 됩니다. 각변당 2개씩.


힘으로 눌러 끼우면 끼워지고, 프로파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것은 자유롭습니다. 


뺄때는 약간 힘을 줘서 꺽쇠 부분을 벌리면 빠집니다. 






top_plate.pdf



3T 포맥스로 상부 플레이트를 구성하게 되어 있습니다. 


적당히 재단하는 방법도 있지만 위 PDF 파일을 100% 크기로 출력해서 풀로 살짝 붙인 후 칼로 자르면 딱 맞습니다. 


그리고 난 뒤 보드를 적당히 배치하고 마크해서 드릴링하고, 볼트 등으로 고정하면 됩니다. 








LCD 고정부는 솔직히 다시 수정해야 합니다. 각도 조정하는 부분이 너무 쉽게 풀어져 그냥 아래로 처지게 되더군요.


급하지 않아 그냥 쓰다보니 계속 이렇게 두게 되네요. 일단 파일은 올립니다. 












LCDbox.STL


우측 인코더 스위치 부분의 홀 크기를 약간 조정했는데, 맞는지 확인은 안해봤습니다. 


내부에 M3 육각너트 6개가 들어갑니다. 


2개는 좌우측 벽쪽에, 4개는 보드 고정용으로 쓰입니다. 


인두기로 살짝 가열해서 누르면 열로 녹아서 딱 붙기 때문에 그렇게 했는데 


헐겁게 들어가는 경우에는 순간접착제 등으로 너트를 고정시켜야 합니다. 










button.STL


STOP 버튼 쪽으로 들어가면 됩니다. 








L_clip.STL


R_clip.STL


M3*10 볼트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습니다만 말씀드렸던 대로 개선이 좀 필요한 부분입니다. 









이 부품은 제가 갖고 있는 베어링과 볼트에 일부러 맞춘 것이라 


형태를 보고 직접 설계하셔도 됩니다. 그대로 따라하시려면 M3*10 볼트와 


외경 9, 내경 3, 두께 5 짜리 베어링이 필요합니다. 









roller.STL








fan_mount.STL


fan_mount1.STL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노즐을 식히는 팬 마운트는 이번에도 역시 M3*10 볼트와 너트가 필요합니다. 


노즐 팬은 효율이 그리 좋지 않은 편입니다. 직접 만들어 쓰시는 것도 추천. 










extruder3.STL


extruder4.STL


extruder5.STL


M3*30 볼트와 너트가 필요합니다. 



제일 수정을 많이 했던 익스트루더입니다만, 그래도 완벽하진 않습니다. 


급한대로 자잘한 수정만 자꾸 하다 보니 이렇게 됐네요. 








제일 잘 부러지던 부분을 아예 이렇게 2파트로 출력해서 베어링을 끼우고 접착해서 만들었습니다. 


일단은 이 상태로 잘 쓰고는 있는데, 그래도 혹시몰라 예비부품은 하나 출력해두고 있습니다. 









728x90
728x90

새로 구입한 블랙박스 영상을 보고있자니 반사광이 빛날 경우 식별이 어려운 것 같아


편광필터를 달면 좀 낫지 않을까 싶더군요.



편광필터는 사진을 찍을 때 반사광을 억제하기 위해 많이 사용합니다. 


유리나 물 표면 등의 반사광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죠. 



왼쪽이 필터가 없을 때, 오른쪽이 필터가 있을 때입니다. 








우리 주변에도 매우 흔하게 많이 있습니다. LCD 디스플레이는 모두 편광필터를 사용하거든요. 


기스가 많이 나서 쓰기엔 좀 애매한 LCD 하나를 분해했습니다. 


안쓰는 전자계산기라던가, 구식 디지탈 시계라던가, 


다이소에서 파는 1000원짜리 주방 타이머나 계산기 등을 분해해 얻을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그냥 저렴한 카메라용 편광 필터를 사용하시는 게 편할 수도 있죠. 


오픈마켓에서 1만 중반대에 구하실 수 있습니다. 







드라이어로 열을 가하면 좀 쉽게 떼어집니다. 히트건은 필름을 녹여버릴 우려가 있습니다. 







끈끈이가 많이 묻어나왔습니다. 신너나 스티커 제거제등을 이용해 지울수 있습니다


저는 그냥 손으로 박박박 문질러 뜯어냈습니다. 










편광필터로 칠 수 있는 장난 중 하나. 









3D 프린터로 필터캡을 만들어 끼웠습니다. 










[사진을 클릭하면 원본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필터있을때가 햇빛이 좀 더 직접적으로 들어와서 비교가 좀 어려운데,


확실한 차이는 대쉬보드가 반사된 불빛이 다시 전면유리에 비춘 그림자가 있었는데


필터를 장착한 후의 동영상에서는 그 그림자가 거의 사라졌습니다. 



이후에도 강한 햇살이 차량에 반사된 불빛 등은 확연히 줄어들었고요.








[필터 장착 전]


헤드라이트가 번호판을 직격할 경우 반사광 때문에 확인이 잘 되지 않습니다.



[사진을 클릭하면 원본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필터 장착 후]


헤드라이트가 번호판을 바로 비추더라도 번호판이 잘 구분되는군요. 



[사진을 클릭하면 원본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728x90
728x90



이번에 차량을 변경한 뒤 블박을 달아볼까 하고 찾아보니.. 적당한 국산은 보통 가격대가 20~30만원선이더군요


중국산 검색해보니 괜찮은 것들은 성능도 나쁘지 않다는 평에 한개 구매했습니다. 


49.77$ 입니다. 너무 가격이 싼 것들은 성능이 많이 떨어지는 듯 하여 


리뷰를 몇개 찾아보고 결정했습니다. 








딱히 제품사진은 찍지 않았습니다. 내용물은 딱 저렇게 들어있습니다. 


박스는 좀 부실하고 메뉴얼이 단촐하긴 한데, 제품 마감새는 괜찮습니다. 


셀러가 배송을 뭘로 보냈는지 3일만에 도착하여 좀 놀랐네요.








A필러는 난생 처음 뜯어보는데 설치는 생각보다 어렵지 않았습니다. 












동영상은 풀HD 전체화면으로 확인하세요






주간영상







야간영상



야간은 번호판이 눈부셔서 안보이는 상황이 약간 있는데 렌즈에서 반사광 처리가 잘 안되는듯


싸구려 편광필터를 사서 덧대줄까 생각도 듭니다.


그리고 제품의 문제인지 제가 설정을 못한건지 충격센서 녹화기능을 어떻게 쓰는건지 잘 모르겠음;


메뉴얼이 부실해서 메뉴를 직접 눌러가며 전부 공부해야 하는 불편함이 좀 있습니다.


한여름 차안의 폭염상태를 버텨줄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가격대비 만족도는 좋네요. 



 



728x90
728x90

일단 판매처인 http://www.mini-kossel.com/Electronics/FSR-KIT 에 가면 설치관련 정보가 있습니다. 






mini Kossel 기반이라 위 링크에 있는 고정용 프린터 파트는 형태가 약간 맞지 않아 따로 뽑았습니다.


요즘 프린터를 뭘 또 잘못 건드렸는지 수평면 상태가 좋지 않아 거칠게 나와서 


에칭용 동판을 넣어 평면을 잡도록 만들었습니다. 









아무래도 더 정밀하지 않을까 기대해 봅니다. 








커넥터를 연결하기 전 동작을 테스트해 봤습니다. 


압력센서라는 이름이라서 선형으로 입력값이 나오는걸로 추측하고 있었는데 


약간의 압력으로 누르면 그냥 on/off 동작이나 다름없게 나오는군요.




검색해 보니 2가지 설정 방법이 있는데


하나는 그냥 압력센서를 Z_min 스위치로 사용하고, 후자는 압력센서를 온도센서 위치에 꽂아


아날로그 입력을 체크해 좀 더 세세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압력센서의 민감도 때문에 on/off가 정확하게 나오도록 민감도를 맞춰야 할 필요가 있어 


온도센서에서 아날로그 입력을 체크하는 듯 합니다... 만 


펌웨어에서 해당 부분의 코드를 제대로 찾지 못해 정확히 어떻게 돌아가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일단 설치한 후 


https://github.com/jcrocholl/Marlin/tree/kossel


에서 받은 펌웨어를 WinMerge를 사용해 기존 펌웨어와 비교하며 수정해 준 후, 업로드하고


G29 오토레벨링 명령을 내려봤습니다.







망했습니다만.. 일단 동작은 제대로 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위키를 보니


Adjusting sensitivity

If you get z_min: TRIGGERED even with less than 300g of weight on the build surface, your FSR endstops are too sensitive. To fix this, increase the size of the sticky pads on top of the FSR sensors, e.g. 1 by 1 inch clear Scotch Restickable Strips. By extending over the edge of each FSR circle, they will support the print bed more and reduce the FSR response.

If you get z_min: open even with more than 500g of weight on the build surface, your FSR endstops are not sensitive enough. To fix this, reduce the size of the sticky pads on top of the FSR sensors, e.g. 1/2 by 1/2 inch clear Scotch Restickable Strips. By putting all the weight on the middle of the FSR circle, they will increase the FSR response.


라는 부분이 있네요.


감도가 너무 높으면 닿는 면적을 늘리고 감도가 낮으면 닿는 면적을 줄이랍니다. 







마스킹 테잎을 잘라 붙였습니다. 







이제야 제대로 돌아가네요.







Repetier 에서는 표시되는 값입니다. 여러번 해서 평균을 내 보고 싶은데 


밤이 너무 늦어서 다음번에 해야겠네요. 




728x90
728x90



스풀 마운트를 만들어서 붙였습니다. 그에 따라 익스트루더 위치도 변경했고요.


처음의 너덜너덜하던 모습들을 생각하면 이제야 좀 기대했던 외형이 나오네요. 


부품 교체는 있겠지만 전체적인 모습은 이대로 변함 없을 것 같습니다. 






처음에 다른 형태로 만들다가 


thingiverse에서 베어링으로 만든 스풀 마운트 http://www.thingiverse.com/thing:318212 를 보니


훨씬 간단하고 편리해 보여서 제가 갖고있는 베어링과 볼트에 맞춰 새로 그렸습니다. 












프린팅 중간에 짧은 시간동안 멈추면서 


표면에 사마귀가 생기는 현상을 확인해 보려고 얇은 원형기둥을 프린트했습니다. 







동영상으로는 잘 관찰이 안되길래 일부러 중간에 LCD를 조작해봤습니다. 

휠을 막 돌리거나, 메뉴로 진입하거나 하면 잠깐씩 멈춥니다.





그러면 이렇게 중간중간 튀어나온 부분들이 생기죠.


아무런 조작을 하지 않아도 프린트 속도를 올리거나 곡면이 많은 부분을 프린트할때는 저런 부분이 많아집니다.


큰 문제는 아니지만 언젠가는 해결해야 할 부분이라 계속 고민중입니다.








주문했던 압력 센서가 도착했습니다. 


설연휴 직전에 한국에 들어왔는데 연휴와 주말 때문에 일주일정도 더 걸렸네요








adafruit 글자를 매직으로 지우려 노력한 흔적이 있군요. adafruit 에서 가져다 파는 것이었나봅니다. 




http://www.adafruit.com/products/166

센서 3개 + 배송비 = 21$ + 9.15$ = 30.15$


http://www.mini-kossel.com/Electronics/FSR-KIT

3개 세트 + 배송비 = 33.99$ + 3.73$ = 37.72$


adafruit 쪽지 조금 더 쌉니다만 mini-kossel 에는 센서 연결용 PCB 가 하나 포함이라는 차이는 있습니다.


PCB는 별로 대단한건 아니므로 adafruit 에서 구매하는게 조금 더 나을 것 같네요.







하나못해 연결용 전선이라도 좀 같이 넣어주면 좋을텐데 하는 생각이 듭니다









PCB는 그냥 위와같이 일자로 연결된 것이라 대단한건 아닙니다. 


어차피 커넥터와 전선 추가해서 납땜해야 하니 저거 하나 더 있다고 작업이 편할 것 같진 않네요.


이제 압력센서 작업 들어갑니다. 

728x90
728x90

연휴라 여유가 좀 생겨 여러가지 것들을 프린트 해 봤습니다. 



LCD 고정용 박스. 너트를 박아 인서트 역할을 합니다. 


원래 헐겁게 들어가도록 해서 순간접착제로 고정할 생각이었는데, 출력하고 보니 거의 꽉 끼어서


인두로 가열해서 끼우니 딱히 접착제는 필요가 없더군요.











측정한 사이즈에 오차가 없이 한번에 잘 나왔습니다. 


홀 간격은 얼마전에 제작한 홀 디스턴스 캘리퍼스(링크)로 측정한 것입니다. 







warping 때문에 3번은 재출력한 것 같습니다. 


마지막 출력분도 모서리가 살짝 떴지만 그럭저럭 쓸만한 정도라 그냥 달았습니다. 


대형 출력물의 경우 모서리 부분이 잘 떠서 고민입니다. 슬슬 히트베드로 업글을 해야 할지도요. 










상부 램프스 보드를 고정하기 위한 판을 달기로 했습니다. 


판은 포맥스로 잘라서 만들고, 프로파일에 고정할 클립을 만들었습니다. 













이와 같은 형태로 원터치 형태로 끼우고 분리되도록 설계했는데, 


그럭저럭 맞긴 하지만 약간 헐거워 힘을 주면 좀 쉽게 분리됩니다. 


수정할까 하다가 저 부분에 딱히 힘을 줄 일이 없어 이번에도 그냥 패스합니다. 










서포트로 램프스 볼트를 고정하고 선정리를 약간 하고 나니 훨씬 깔끔하네요.


이제 보빈을 상단에 장착하기 위한 부품을 프린트할 계획입니다. 






프린팅을 반복하면서 느낀 점들을 몇가지 정리해 봅니다. 


-꽉 조인 노즐인데도 가열과 냉각을 반복하다 보면 틈이 생기는지 약간씩 샙니다. 


 노즐 일체형 히터가 왜 있는지 알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베드 수평은 잘 잡아놓아도 약간씩 틀어지는 것이 반복됩니다. 


 프린팅을 반복하다 보면 다시 세팅하고 다시 세팅하고 하다 보니 성가셔서 빨리 영점센서를 달고 싶습니다. 



-직선 부분에서는 큰 문제가 없으나 곡면 프린팅시에는 연산이 못 따라가는지 조금씩 멈칫거리는 부분이 있는데

 

 이때 벽면에 깨알만큼 튀어나오는 부분이 생깁니다. 


 큰 문제는 아니지만 보드를 Arduino Due로 교체해야 하는지 고민중입니다


 펌웨어 수정으로 고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이펙터에 자잘한 실금이 생기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로드를 자석식에서 볼엔드로 바꿀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되도록 빨리 수정해야 할 것 같네요. 




728x90
728x90

펌웨어 설정에서 어려운 점이 많았습니다. 


구글링 해보면 그냥 대충 주석 몇개 지우고 적용하는 것처럼 나오는데


아무리 시도해봐도 영 이상한 동작만 반복하더군요.


home 을 잡고 오토 레벨링 명령인 G29를 내리면 X,Y 모터만 내려갑니다. 





한참을 구글링하고 씨름하다가 


아무래도 configuration.h 에서 건드릴 수 있는 수치로 조작될 부분이 아닌 것 같아


Kossel mini 용 펌웨어를 다운받아 비교해보니 Malin_main.cpp 에서 이미 상당히 차이가 나더군요.



델타에서는 오토레벨링 시 베드로 이동하기 위해 XYZ 3모터 모두 하강하는 동작을 합니다만


보통의 직교식 프린터에서는 XY 모터만 이동하겠지요.


그런 코드가 그대로 남아있었기 때문에 제 델타는 XY 모터만 하강을 반복하던 것이었습니다. 



Marlin펌 최신을 찾아봤으나 아예 전에 있던 코드마저 빼버리고 델타는 지원 안한다고 코멘트가;; OTL






이걸 전체적으로 수정하기엔 너무 힘들기 때문에 Kossel mini 용 펌웨어를 수정해서 


다시 제 K800에 넣기로 했습니다.



비교 프로그램으로 틀린 부분을 찾아서 코드를 카피해 수정하는 중입니다. 






이외에도 몇군데 수정하고 다시 테스트를 해 보았습니다





프루브 체크를 하면서 내려가야 하는데... 올라옵니다;;






원인을 찾았는데 이건 구글링했던 엔드스탑 설정과는 반대로 해야 하더군요.







[25초부터 보세요]


일단 올라오는 문제는 해결했으나... 10mm 높이에서 열심히 체크할뿐 probe 가 바닥에 닿질 않습니다;










막판에 왼쪽 위에서 뭐하는건가 싶었는데 저렇게 probe를 도로 밀어서 집어넣도록 되어 있네요.  





며칠을 씨름했던 제일 큰 원인들은 찾았고


일단 밤이 늦었으니 오늘은 여기까지

728x90
728x90


[사진 클릭]


학부생때 약간 겉핥기로 관심만 가졌던 것인데 이렇게 대단한 학생들이 있네요


728x90

'주인장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잊지 않겠습니다.  (0) 2015.04.16
다이모 라벨프린터 구입  (1) 2015.04.02
손가락 부상..  (0) 2014.12.15
최근 며칠간 작업들.  (0) 2014.10.24
오늘의 마무리  (0) 2014.10.19
728x90





사실 측정 공구의 종류는 굉장히 많습니다만, 기본적으로 산업 현장에서도 


버니어 캘리퍼스 하나면 거의 모든 것을 잴 수 있기에 일반인은 여러가지 측정 도구들을 볼 일이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그중에서도 이것만큼은 있으면 좋겠다 싶었던 것이 홀 간격을 재는 캘리퍼스인데요.



이렇게 재면 27.5mm






이렇게 재면 28mm








홀 간격은 버니어 캘리퍼스로 재기에도 힘듭니다. 날을 어디에 걸어야 할지 애매하기 때문에


눈대중으로 홀의 센터 부분이라 생각되는 곳에 양 날을 위치시켜 놓고 재게 되죠.


그러다 보니 눈대중 오차에 흔들리는 오차까지 겹쳐 믿을 수 없는 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을 해결해 주는 것이 홀 간격을 재는 캘리퍼스입니다. 


원래 용어가 홀 디스턴스 캘리퍼스가 맞는지는 모르겠는데 검색을 해도 정확한 명칭은 안나오네요



하여간 원리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저렇게 원뿔형의 봉으로 측정하는거죠.


원뿔형이기 때문에 구멍에 집어넣으면 자연히 센터를 잡게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나서 측정하면 센터간의 거리가 나오죠.




기존의 버니어 캘리퍼스와 기구적으로는 완전히 같기 때문에,


약간의 개조로 홀 디스턴스 캘리퍼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요런 형태를 디자인합니다. 









파인 홈의 안쪽 면은 정확하게 원의 중심으로 와야 합니다. 









그리고 고정해줄 볼트와 너트 홀을 파줍니다. 











아쉽게도 뾰족한 부분이 제대로 살지 못했네요. 










요렇게 끼웁니다. 


굳이 볼트로 조이지 않아도 적당한 힘으로 끼워지는군요







20mm 의 절반씩 10mm + 10mm 여야 하는데.. 21mm 가 나옵니다. 


프린트물의 외각 사이즈는 정상인데 내부에서 오차가 있는 듯 합니다. 


수정해야 하지만 이미 밤이 늦어서 그냥 진행합니다. 


그냥 측정된 사이즈에 -1 해서 계산해주면 되겠죠








요렇게 구멍에 콕 찍어주면 됩니다. 83mm 가 나왔으니 -1 해서 82mm 가 되겠네요. 









한쪽을 빼면 이렇게 면에서 홀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습니다. 



728x90
728x90


노즐 팬마운트를 출력해 보았습니다. 서포트 떼다가 살짝 부러졌는데 순접으로 고정했고요


하지만 설계 실수로 조립이 안되더군요. 










다시 수정했습니다. 





요렇게 일단 조립은 되는데 하부가 너무 두꺼워서 좀 문제가 있습니다. 


일단 설계만 변경해 놓고 나중에 수정출력하기로. 










전에 이런 상태로 출력되었던 개구리를 테스트해보았습니다. 













노즐팬이 출력물을 바로 식혀주기 때문에 흘러내리지 않고 잘 출력이 됩니다. 




728x90
728x90



베드에서 위치를 약간 바꿔 출력했더니 출력중에 노즐이 출력물에 걸리는 느낌이 많이 줄었습니다. 


출력좌표계가 오목/볼록 현상이 일어나서 문제인가 싶었는데 영점체크해보니 그건 아니었고


계속 관찰하다 보니 출력물이 휘어 올라오면 그때 노즐이 걸리는 것 같습니다. 










익스트루더에서 노즐까지 거리가 길어서 그런지 리트랙트를 걸어도 별 효과가 없는 듯. 


익스트루더의 위치를 좀 더 내려서 노즐까지의 거리를 줄여보려 합니다. 
















칼질과 줄질과 드릴질로 많이 깎아냈습니다. 









나사로 힘을 가하다보니 살짝 벌어져서 순간접착제로 보강했고요.









베어링 고정부품은 나사를 조여주다가 떨어져 나가고;; 


힘을 받는 것에 비해 면적이 좁다보니 좀 골치아프네요. 


몇번씩 수정해서 다시 뽑았습니다. 











그리하여 새벽 3시쯤에 수정완료


베어링을 누르는 볼트를 앞쪽으로 빼주는게 나았을 까 싶기도 하네요. 









3D 프린터의 특성상 외경은 커지고 내경은 좁아지더군요. 


설계할 때 0.5mm 정도의 여유를 두고 만들었더니 택도 없었습니다


몇번 더 하다보면 3D 프린터용 모델링 할 때 어떻게 공차를 둘지 감이 좀 잡힐 것 같습니다.





728x90
728x90

익스트루더 기어를 교체하고 난 뒤 해결되었다고 생각했는데


잠깐 제대로 나오나 싶더니 또 압출이 제대로 되지 않고 말썽을 부립니다..




압출이 되지 않는 상태로 히터만 신나게 가열하고 


그 와중에 팬 동작 안하고 있다가 노즐까지 막히고 


분해조립하다가 노즐과 방열판 사이에 들어가는 긴 볼트를 거꾸로 끼우는 실수를 했습니다.




반대쪽에는 내부에 내열 플라스틱 호스가 들어가 있지 않은 그냥 금속덩어리라


녹은 PLA가 제대로 녹아붙어버렸고 드릴로 조금 뚫어봤지만 해결이 쉽지 않을 것 같아


예전에 예비로 구입했으나 문제가 있던 핫엔드를 분해해서 부품을 교환했습니다. 











그리고 원인을 찾았네요.. 익스트루더 상부의 베어링을 눌러주는 부품도 반쯤 깨져서 


아무리 눌러도 힘이 가해지지 않았던 거였습니다. 


사진 왼쪽에 보이는 출력해둔 예비 부품이 있었기에 바로 교체하고 조립하니 이상없이 압출이 잘 되네요.


그 상태로 출력 걸어넣고 레이어 깔리는 것을 확인하고 잠시후... 또 출력이 안됩니다. 



이번에는 베어링이 너무 꽉 눌려서 필라멘트가 O 모양에서 D 모양으로 납작해진 게 원인이었습니다. 


필라멘트의 형상이 변형되는 바람에 구멍에 맞질 않아 마찰이 너무 커져 호스를 따라 들어가질 못하고


압출기 옆으로 삐져나온 필라멘트...;;  전부 잘라내고 압력 조절하고 




그리고 어느정도 나오다가 또 출력이 잘 안되기 시작;; 


이번에는 베드 레벨링이 틀어졌더군요;


끝나지 않는 세팅











일단 출력이 어느정도 안정화되어 하나씩 바로잡자 하고 익스트루더를 재설계했습니다.


문제가 되었던 형상들을 수정했는데 실제로 어떨지는 사용해봐야 알겠죠. 








그럭저럭 나오지만 중간에 떡지는 부분이 조금씩 발생합니다. 


단순한 형상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문제인데 아직 정확한 원인을 잘 모르겠군요.


압출량 줄여봤다가 이것도 실패하고;; 


베드 평탄은 잡았는데 이게 아무래도 기본 평면이 볼록하게 계산된 게 아닌가 싶네요. 


일부 영역에서 움직일 때 출력물에 노즐이 살짝살짝 걸리면서 드르륵 소리가 납니다. 










안정화되는 대로 팬마운트를 출력해서 노즐과 방열판 쪽으로 2개의 팬을 장착할 예정입니다. 


Thingiverse에서 적당한 팬마운트를 찾아보려 했으나 딱히 마음에 드는 게 없어 직접 그렸습니다. 


팬 1개짜리는 마운트가 많은데 2개를 쉽게 장착할 수 있는 팬마운트는 괜찮아 보이는게 없더군요.


완벽한 것은 아니고 오토레벨링 프로브를 달게 되면 팬마운트는 설계변경이 될 것 같습니다. 








- 팬마운트 출력/장착


- 오토레벨링 프로브 장착


- Heated bed 장착


- 컨트롤러 박스 출력하여 부품 및 전선 정리. 


- 유리베드 고정용 부품 출력(Heated bed 대응)


- 노즐 히터/팬/써미스터 전선 중간에 커넥터 추가(정비 및 교체 목적)





장기적으로 고려할 점


- 자석및 슬라이더 여유부품 마련해 놓을 것(내구성이 불안함)


- 텐션 조절용 슬라이더 설계


- 엔드스탑 광학식으로 변경 


- MPU업그레이드 - 오버클락하거나 arduino due로 변경





728x90
728x90

 



눌러주는 베어링 쪽에 테이프를 좀 감아서 누르는 힘을 세게 하면 되지 않을까 했는데


최대한 꽉 눌러줘도 필라멘트를 손으로 밀었을 때 밀릴 정도로 잡아주질 못하네요.



압출 기어가 가공이 잘못된 건지 재질이 잘못된 건지 모르겠지만 기어 홈이 살짝 갈린 듯한 느낌인데


이건 사용중에 그런건지 원래 그런건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압출기어의 외경은 8mm, 내경은 5mm 이며 높이는 13mm 이고


MK8 압출기어(내경5, 외경9) 짜리로 주문했는데 주말이라 빨라야 화요일에나 도착할 듯 합니다.








빨리 여러가지 해보고 싶은데 한창 발동걸리던 중에 이렇게 되니 힘이 빠지는군요.

728x90
728x90

익스트루더의 기어 홈도 얕아보이고 


익스트루더를 꽉 눌러도 제대로 조여지지 않는 느낌이라고 생각했는데


3일동안 프린트물마다 전부 실패해서 



압출량 체크하고 노즐점검하고 온도 종류별로 다해보고 


각종 세팅 전부 재점검하고 난리를 치다가 



익스트루더 모터가 움직이고 필라멘트도 정상적으로 들어가지만 왠지 좀 덜 들어가는 느낌이라


손으로 힘있게 밀어서 도와주니 이상없이 출력이 됩니다;;


일단은 압출기어만 추가 주문했는데 


프린터가 안정을 찾으면 익스트루더는 통째로 다시 만들거나 해야 할 듯 하군요.

728x90
728x90
전체적으로 큰 불만은 없는 상태로 출력이 되고 있습니다만

그래도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가 꽤 있습니다. 

문제점을 확실히 보기 위해 

유명한 개구리를 출력해봤습니다. 



http://www.thingiverse.com/thing:18479





PLA 필라멘트가 색소없는 기본색이라 출력물 상태를 잘 보기 위해 회색 서페이서를 한번 뿌려준 상태입니다. 





이렇게만 보면 그럭저럭 잘 나오는 것 같습니다. 가방에 넣고 다녔더니 왼쪽 앞발은 부러졌네요


0.2 layer에 출력속도 60mm/s , 내부채움 20%입니다








하지만 각도가 있는 아래쪽은 흘러내려 상태가 좋지 않습니다. 










발가락 부분을 보면 바닥쪽 레이어도 좀 문제가 있습니다. 출력상태가 고르지 못합니다.
















문제점 1.역구배인 경우 흘러내립니다. 이건 노즐의 온도조절로 해결하기엔 힘든 부분인 것 같아


노즐쪽에 출력물을 식혀주는 팬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http://www.thingiverse.com/thing:455865


마침 thingiverse 에 쓸만한 파일이 하나 있습니다. K800용입니다.


방열판을 식혀주는 팬과 출력물을 식히는 팬으로 구별될 필요 없이 


팬 하나로 방열판을 통과해서 노즐을 식히면 좋을 것 같은데 그런 파일은 없네요. 





문제점 2. 바닥쪽 레이어들이 불안정합니다. 몇번 출력하면서 관찰해 본 결과


일단 히터가 노즐을 예열하면서 온도가 올라가고 


출력을 시작하면서 팬이 가동되는 순간 온도가 팍 떨어집니다. 


그리고 떨어진 온도를 잡으려고 히터가 급가동되어 온도가 급격히 올라가고


이렇게 초반에 온도가 널뛰기를 몇번 하더군요. 


상황에 따라 180도 설정된 온도가 170~200도 사이를 왔다갔다 합니다. 


팬이 초반에 켜지지 않기 때문에 PID튜닝으로도 완벽하게 해결되지는 않습니다. 



팬을 컨트롤러에서 제어할 게 아니라 그냥 전원에 직결해서 


전원이 들어오면 무조건 작동하게 만들거나 별도의 수동 스위치를 사용할 생각입니다.


히터 예열시에도 팬이 작동하게 하고 PID 튜닝을 잡으면 널뛰기 온도가 안정을 되찾으리라 봅니다.







728x90
728x90




한 이틀정도 열심히 이것저것 프린트 해보고 있었던 것들이 계속 제대로 안되어 원인을 찾다보니






금이 갔던 익스트루더 부품이 깨져 눌러주는 힘이 약해지는 바람에 압출량이 매우 부족했습니다. 


일단 바이스 클램프로 임시 수리







Thingiverse 에서 받은 K800 용 익스트루더 부품을 프린트해보았는데.. 


저건 사출용으로 제작된 파일이 아니더군요;;

 

피팅을 끼울 번데기너트의 형상이 고려되어 있지 않은 부품이었습니다. 


출력도 왠지 지저분하고 그냥 폐기처분







전에는 이렇게 달라붙지 않던 베드에 3M 77 스프레이 접착제를 뿌렸는데요.


사용자들의 평이 75(임시접착제)는 괜찮은데 77(강력접착제)는 너무 심하게 달라붙는다고 했지만


집에 77밖에 없어서 일단 뿌려봤습니다. 







그랬더니 너무 잘 붙어서 칼이 부러집니다. 













출력물에 갈색 똥이 보이는데 이상하게 자꾸 똥이 생기길래 노즐을 확인해 봤더니 


노즐을 덜 조여서 녹은 PLA가 새고 있더군요. 


다시 꽉 조여주긴 했는데 테프론 테이프 사와서 제대로 수리할 생각입니다. 








 



특별히 나사로 조이는 정도를 조절하지 않고 고정해도 될 것 같아서 임시로 클립을 설계하고















요렇게 끼워줬더니 문제없이 작동이 됩니다. 


일단은 굳이 더 수리하지 않아도 될 것 같은데 나중에 시간나면 새로 출력해봐야겠습니다. 

728x90
728x90



일단은 익스트루더 부품을 미리 출력해놔야 할 것 같습니다. 


약간 세게 조였더니 너트 고정부가 쩍 하는 소리를 내면서 금이 가고 조금씩 벌어지고 있습니다. 


해당 부품은 http://www.thingiverse.com/thing:388683 에서 다운 가능합니다. 








속도를 좀 많이 올려봤더니 탈조가 나서 드라이버의 저항을 돌려 전류값을 올려봤습니다. 


그랬더니 노즐히터가 켜지는 순간 파워가 다운되더군요. 

(안전장치가 들어있어 꺼져도 코드 뽑고 기다리면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가변 파워 서플라이에 물려봤더니 6.5A 정도 나오는데 포함된 파워는 5.5A 짜리라서 출력을 감당 못하더군요


이대로 조금 작동시켜보니 스텝모터의 발열이 상당해서 결국 출력을 줄이고 원래 파워로 바꿨습니다. 










베드 안착을 쉽게 하려고 200도 가까이 올렸더니 PLA인데도 휨 현상이 엄청납니다. 


그머리아픈 독한 냄새가 상당히 나고 기포도 생기네요.


180도 전후까지 내리면 휨 현상은 많이 없어지는데 베드 안착이 쉽지 않아 brim 을 깔아보기도 하고


여러가지 조건으로 몇시간씩 뽑아보고 있습니다. 


출력 속도를 너무 올려도 휨 현상이 심해지고 적당한 지점을 찾기가 어렵군요.




오토프루브는 근접 센서를 사용하려고 했는데, 


테스트해보니 금속 베드에서만 작동하고 그나마 오류가 엄청 적은것도 아닙니다. 


일단은 포함되어있던 오토프루브를 그냥 사용하고 나중에 업그레이드하는걸로.. 

728x90
728x90







Repetier-host 옵션을 보다 보니 재미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Config] - [Preferences] 로 들어가면










Push-Messages 옵션이 있습니다. 


출력시작, 출력 완료 등등의 메세지를 폰으로 보낼 수 있습니다. 


그림의 QR코드나 아래쪽 Visit Repetier-Informer Website 를 눌러 더 자세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글 플레이에서 Repetier 를 검색하면 앱이 나옵니다. 


아쉽게도 4000원짜리 유료 앱입니다만 값어치를 하지 않을까 합니다. 









실행 후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버튼을 눌러 위와 같은 화면으로 들어갑니다. 












Your group name 에 적당한 이름을 써 넣고 Create new group 을 누릅니다. 



Add to existing group는 이미 있는 그룹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즉 동시에 여러대의 스마트 기기로 메세지를 보내는 것도 가능합니다. 










위와 같이 그룹이 지어지면서 시리얼 번호같은 것이 나옵니다. 














다시 Repetier-host로 돌아와 Host Name에 그룹 이름을,


Informer-Group 에 시리얼 번호같은 25글자의 일련번호를 적어 넣습니다. 


그리고 우측의 Test 버튼을 누르고 잠시 기다립니다. 










스마트폰에 알림이 뜨면 제대로 설정이 된 것입니다. 


728x90

+ Recent posts